[프로그래머스/Kotlin]Lv2 - 리코챗 로봇

2024. 8. 19. 22:11프로그래머스/Kotlin | Level2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문제 설명

리코쳇 로봇이라는 보드게임이 있습니다.

이 보드게임은 격자모양 게임판 위에서 말을 움직이는 게임으로, 시작 위치에서 목표 위치까지 최소 몇 번만에 도달할 수 있는지 말하는 게임입니다.

이 게임에서 말의 움직임은 상, 하, 좌, 우 4방향 중 하나를 선택해서 게임판 위의 장애물이나 맨 끝에 부딪힐 때까지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한 번의 이동으로 칩니다.

다음은 보드게임판을 나타낸 예시입니다.

...D..R
.D.G...
....D.D
D....D.
..D....

 

여기서 "."은 빈 공간을, "R"은 로봇의 처음 위치를, "D"는 장애물의 위치를, "G"는 목표지점을 나타냅니다.

위 예시에서는 "R" 위치에서 아래, 왼쪽, 위, 왼쪽, 아래, 오른쪽, 위 순서로 움직이면 7번 만에 "G" 위치에 멈춰 설 수 있으며, 이것이 최소 움직임 중 하나입니다.

게임판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board가 주어졌을 때, 말이 목표위치에 도달하는데 최소 몇 번 이동해야 하는지 return 하는 solution함수를 완성하세요. 만약 목표위치에 도달할 수 없다면 -1을 return 해주세요.

제한 사항

  • 3 ≤ board의 길이 ≤ 100
    • 3 ≤ board의 원소의 길이 ≤ 100
    • board의 원소의 길이는 모두 동일합니다.
    • 문자열은 ".", "D", "R", "G"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빈 공간, 장애물, 로봇의 처음 위치, 목표 지점을 나타냅니다.
    • "R"과 "G"는 한 번씩 등장합니다.

입출력 예

board result
["...D..R", ".D.G...", "....D.D", "D....D.", "..D...."] 7
[".D.R", "....", ".G..", "...D"]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 설명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D.R
....
.G..
...D
  • "R" 위치에 있는 말을 어떻게 움직여도 "G" 에 도달시킬 수 없습니다.
  • 따라서 -1을 return 합니다.

풀이

최종 소스코드

class Solution {
    fun solution(board: Array<String>): Int {
        var answer = Int.MAX_VALUE
        val directions = arrayOf(
            -1 to 0, // 상
            1 to 0, // 하
            0 to -1, // 좌
            0 to 1 // 우
        )
        val visited = Array(board.size) { IntArray(board[0].length) { 0 } }

        fun dfs(pos: Pair<Int,Int>, cnt: Int, board: Array<String>) {
            if (cnt >= answer) return

            val (x, y) = pos
            directions.forEach {
                var (i, j) = intArrayOf(x + it.first, y + it.second)
                while (i in board.indices && j in board[0].indices && board[i][j] != 'D') {
                    i += it.first
                    j += it.second
                }
                i -= it.first
                j -= it.second

                if (board[i][j] == 'G') {
                    answer = minOf(answer, cnt + 1)
                    return
                }

                if (i in board.indices && j in board[0].indices && (visited[i][j] == 0 || visited[i][j] > cnt + 1)) {
                    visited[i][j] = cnt + 1
                    dfs(i to j, cnt+1, board)
                }
            }

        }

        for (i in board.indices) {
            for (j in 0 until board[0].length) {
                if (board[i][j] == 'R') {
                    dfs(i to board[i].indexOf('R'), 0, board)
                    break
                }
            }
        }

        return if (answer != Int.MAX_VALUE) answer else -1
    }
}
  • 초기 설정:
    • answer 변수는 최단 경로 길이를 저장하며, 초기값은 Int.MAX_VALUE.
    • 상하좌우를 나타내는 directions 배열을 정의.
    • 각 위치 방문 여부와 이동 횟수를 기록할 visited 배열을 초기화.
  • DFS 함수 (dfs) 정의:
    • 현재 위치에서 네 방향으로 가능한 멀리까지 이동.
    • 이동 중에 'G'를 만나면 answer 갱신.
    • 이동 가능한 새로운 위치에서 재귀 호출로 다음 탐색 진행.
  • 탐색 시작점 찾기:
    • board에서 'R'의 위치를 찾아 dfs 호출로 탐색 시작.
  • 결과 반환:
    • 탐색 후 answer가 갱신되지 않았다면 -1 반환, 갱신되었다면 최단 경로 길이를 반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