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Android 기초(12)
-
Parcelize vs Serializable 차이점 한눈에 보기
Serializable : Java의 기본 직렬화 방식class User(val name: String, val age: Int) : Serializable장점:구현이 매우 쉽다. implements Serializable만 하면 끝.Java 표준이라 Android 외의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단점:리플렉션 기반 → 느리다.성능이 중요한 Android 환경에선 이게 큰 단점.어떤 필드가 직렬화되고 있는지 명시적으로 제어 불가.Parcelable (+ @Parcelize) : Android 전용 직렬화 방식@Parcelizedata class User(val name: String, val age: Int) : Parcelable장점:Android에 최적화된 고속 직렬화.메모리 복사 수준으로 빨라서 성능이 ..
2025.04.02 -
Single Activity Architecture(SAA) 전환 시 Navigation 구조 설계 방법
안드로이드 앱을 Single Activity Architecture(SAA)로 전환할 때, 가장 많이 고민하게 되는 포인트는 바로 Navigation 구조다.기존에는 Activity 단위로 화면을 나눴다면, 이제는 하나의 Activity와 하나의 NavHost 안에서 모든 화면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핵심 원칙NavHost는 하나만!AppNavGraph에서 전체 라우팅 담당Activity마다 NavHost를 여러 개 두는 구조는 Compose + SAA에서 지양하위 기능은 NavGraphBuilder 확장 함수로 분리ChatNavGraph, OpenChatNavGraph처럼 묶고 싶다면 NavGraphBuilder 확장 함수로 정의실제 NavHost는 AppNavGraph에만 존재해야 함실전 TIPCha..
2025.03.28 -
[Android] 왜 Log.d() 대신 Timber를 써야 할까?
자꾸 Android Studio에서 Log.d를 Timber로 변환하라는 메세지가 뜬다.대체 Timber가 뭐길래.1. Log.d()의 단점1️⃣ 태그를 직접 써야 함Log.d("MyActivity", "Something happened")MyActivity 와 같은 TAG를 계속 명시해줘야 한다.2️⃣ 릴리즈 빌드에서도 로그가 찍힐 수 있음디버깅용 로그가 사용자 환경에서도 노출될 위험이 있음3️⃣ 로그 필터링, 커스터마이징 어려움로그 포맷, 조건부 출력 등 확장성이 떨어짐2. Timber의 장점1️⃣ 자동 태그 처리Timber.d("Hello")로그에 자동으로 클래스 이름 + 라인 번호가 붙는다.D/MainActivity: Hello (MainActivity.kt:42)2️⃣ 릴리즈 빌드에서 로그 자동..
2025.03.26 -
android:exported 속성 필수 이유 (Android 12 대응)
Android 12(API 31) 이상부터는 Intent-filter가 설정된 컴포넌트(Activity, Service 등)는반드시 android:exported를 명시해야만 한다.명시하지 않으면 Manifest 병합 시 에러가 발생해서 앱이 아예 빌드되지 않는다. ▶️ true: 외부 앱에서 이 Activity 실행 가능 (런처 진입점 등)▶️ false: 내부 컴포넌트 (BroadcastReceiver 등 내부 호출만 허용) 몰랐을 땐 그냥 안 써도 되던 거지만,이제는 무조건 써야 하는 필수 속성임을 알게 됐다.
2025.03.24 -
좀비 같은 Activity 처리하기, finish()와 finishAActivity()의 차이
회사 앱에서 Crash가 발생하였다.로그를 확인하여 예상 시나리오로 재현을 했더니 분명 Finish 시켰던 Activity가 다시 나타나며 발생한 Crash.그럼 Finish가 정확하게 된게 아닌건가? AActivity 호출 -> AActivity finish() -> CActivity 호출 -> 화면꺼짐(sleep) -> BActivity 호출(push 알람을 통한) -> BActivity finish() -> AActivity 호출-> AActivity finish() -> BActivity 부활(좀비) 아니 Finish를 시키면 결국 Activity는 죽어야 하는거 아닐까?✔ finish() 후에도 Activity가 다시 나타나는 이유Activity가 백스택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음finish(..
2025.03.10 -
안드로이드 모듈 간 리소스 충돌 방지: 리소스 ID와 모듈 의존성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에서 여러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리소스 충돌을 피하기 위한 전략이 중요하다.특히 string, drawable, color와 같은 리소스 파일을 다룰 때,리소스 ID가 어떻게 관리되는지 모듈 간 의존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 리소스 ID는 이름과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안드로이드에서 각 리소스(string, drawable, color 등)에 대해 고유한 ID가 자동으로 할당된다.이 ID는 리소스 이름과 해당 리소스가 위치한 모듈에 따라 결정된다.따라서 동일한 리소스 이름을 가진 string 파일이 core 모듈과 feature 모듈에 존재한다면,각 모듈에 대해 각각의 ID가 할당된다. 2. 리소스 이름이 같으면 동일한 ID가 할당된다.하지만 모듈마다 ID가 부여될 뿐, 그 ID..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