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문제 설명
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목록을 만들어서 당첨 처리 시 제외하도록 이벤트 당첨자 담당자인 "프로도" 에게 전달하려고 합니다. 이 때 개인정보 보호을 위해 사용자 아이디 중 일부 문자를 '' 문자로 가려서 전달했습니다. 가리고자 하는 문자 하나에 '' 문자 하나를 사용하였고 아이디 당 최소 하나 이상의 '*' 문자를 사용하였습니다.
"무지"와 "프로도"는 불량 사용자 목록에 매핑된 응모자 아이디를 제재 아이디 라고 부르기로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에 응모한 전체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다음과 같다면
frodo |
fradi |
crodo |
abc123 |
frodoc |
다음과 같이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전달된 경우,
frd |
abc1** |
불량 사용자에 매핑되어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frodo | fradi |
abc123 | abc123 |
이벤트 응모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user_id와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banned_i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몇가지 경우의 수가 가능한 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user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
- user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습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banned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user_id 배열의 크기 이하입니다.
- banned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 가리기 위한 문자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 문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 하나는 응모자 아이디 중 하나에 해당하고 같은 응모자 아이디가 중복해서 제재 아이디 목록에 들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
- 제재 아이디 목록들을 구했을 때 아이디들이 나열된 순서와 관계없이 아이디 목록의 내용이 동일하다면 같은 것으로 처리하여 하나로 세면 됩니다.
[입출력 예]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 ["frd", "abc1**"] | 2 |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 ["rodo", "rodo", "****"] | 2 |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 ["frd", "rodo", "", "*"] | 3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설명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frodo | frodo |
crodo | crodo |
abc123 | frodoc |
입출력 예 #3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frodo | fradi | fradi |
crodo | crodo | frodo |
abc123 | abc123 | abc123 |
frodoc | frodoc | frodoc |
풀이
나의 풀이법
풀이 접근 과정
처음 접근한 방법은 모든 경우의 수를 만들었다. 완전 탐색 !!
예상대로 시간 초과가 났다…
class Solution {
val answer = mutableSetOf(setOf<String>())
lateinit var userID: Array<String>
var size = 0
fun solution(user_id: Array<String>, banned_id: Array<String>): Int {
userID = user_id
size = banned_id.size
dfs(banned_id, BooleanArray(user_id.size) { false }, mutableSetOf())
return answer.filter { it.size == size }.size
}
private fun dfs(banned_id: Array<String>, visited: BooleanArray, bannedList: MutableSet<String>) {
banned_id.forEachIndexed { i, b ->
userID.forEachIndexed { j, u ->
if (!visited[j]) {
if (correctWord(u, b)) {
visited[j] = true
bannedList.add(u)
if (bannedList.size == size) answer.add(bannedList.toSet())
else dfs(newBannedId(banned_id, i), visited, bannedList)
bannedList.remove(u)
}
visited[j] = false
}
}
}
}
private fun correctWord(userId: String, banID: String) =
userId.matches(banID.replace("*", ".").toRegex())
private fun newBannedId(banned_id: Array<String>, index: Int) =
banned_id.filterIndexed { idx, _ -> idx != index }.toTypedArray()
}
그래서 위 소스에서 최적화를 시작하였다.
중복되는 것이 무엇일까 고민했는데, dfs에서 이중for문을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 같았다.
생각해보니 이중for문을 쓰면서 bannedID 리스트를 지워주는 수고를 할 바에 bannedId의 Index를 비교하여 그 부분만 또 비교하면 되지 않을까?
최종 소스코드
class Solution {
val answer = mutableSetOf(setOf<String>())
lateinit var user_id: Array<String>
lateinit var banned_id: Array<String>
fun solution(user_id: Array<String>, banned_id: Array<String>): Int {
this.user_id = user_id
this.banned_id = banned_id
dfs(BooleanArray(user_id.size) { false }, 0, mutableSetOf())
return answer.filter { it.size == banned_id.size }.size
}
private fun dfs(visited: BooleanArray, bannedIndex: Int, bannedList: MutableSet<String>) {
val currentBanId = banned_id[bannedIndex]
user_id.forEachIndexed { i, u ->
if (!visited[i] && user_id[i].matches(currentBanId.replace("*", ".").toRegex())) {
visited[i] = true
bannedList.add(u)
if (bannedList.size == banned_id.size) answer.add(bannedList.toSet())
else dfs(visited, bannedIndex+1, bannedList)
bannedList.remove(u)
visited[i] = false
}
}
}
}
입력받은 user_id와 banned_id는 전역 변수로 재선언한다.
dfs에는 방문여부를 저장할 visited,와 banned_id를 비교한 bannedIndex, 생성된 제재아이디 목록을 저장할 bannedList를 넘겨줄 것이다.
user_id를 기준으로 for문을 돌리며 현재 bannedIndex에 맞는 banned_id 값과 user_id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user_id가 방문 상태가 아니고, banned_id와 일치하면 bannedList에 값을 추가해준다.
bannedList의 사이즈가 꽉 차있는 경우, answer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다시 dfs를 돌린다.
bannedList를 for문 안에 있으므로 다시 제거해주고, 방문 상태로 false로 바꿔준다.
answer는 mutableSet을 사용하였으므로 중복되지 않은 리스트 값만 남게 된다.
제재 아이디 목록과 banned_id의 사이즈가 일치하는 경우만 카운트하여 리턴해준다.
Comment
접근은 어렵지 않았고 꽤 금방 풀었다.
그런데 좀 더 효율적이고 간단하면서도 시간 복잡도가 적은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그건 잘 모르겠다 …ㅎ
'프로그래머스 > Kotlin | Level3'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Kotlin]Lv3 - 이중우선순위큐 (0) | 2023.08.27 |
---|---|
[프로그래머스/Kotlin]Lv3 - 디스크 컨트롤러 (0) | 2023.08.06 |
[프로그래머스/Kotlin]Lv3 - 네트워크 (0) | 2023.07.16 |
[프로그래머스/Kotlin]Level3 - 110 옮기기 (0) | 2023.06.09 |
[프로그래머스/Kotlin]Level3 - 가장 먼 노드 (1)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