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Android 오픈소스 전략 수정… 실시간 AOSP 개발 종료

2025. 4. 1. 17:36개발새발 안드로그/IT 소식

728x90
반응형

2025년 3월, AndroidAuthority 보도에 따르면

Google은 Android 운영체제의 오픈소스 개발 방식을 전면적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이제 Android는 더 이상 AOSP에서 실시간 개발되지 않으며, 오로지 내부 브랜치에서만 개발된다.

1. 기존 방식: Dual Track 구조

Google은 그동안 Android를 다음과 같은 두 개의 트랙으로 병행 개발해왔다:

구성 설명
내부 브랜치 Google 사내 비공개 브랜치. 실제 Android 개발이 이루어짐
AOSP 브랜치 오픈소스 레포 (android.googlesource.com). 일부 코드가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커뮤니티가 추적 가능

이 구조는 투명성과 오픈소스 정신을 살렸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었다:

  • 내부 ↔ 외부 브랜치 병합 시 충돌 다수 발생
  • 개발자 입장에서 중복 관리 필요
  • 외부와 내부의 코드 타이밍 불일치

2. 새로운 방식: Internal-First, Public-After

앞으로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바뀐다:

변경점 내용
개발 위치 내부 브랜치 100% 집중
AOSP Android 버전 릴리스 후에만 전체 코드 공개
dev 브랜치 android-15-dev 같은 브랜치는 이제 없음

이 구조는 마치 “GitHub에 배포는 하지만 개발은 GitLab에서 비공개로 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다.

3. 이 변화가 의미하는 바

외부 개발자/커뮤니티 입장

  • Android 기능을 미리 추적하거나 분석하기 어려워짐
  • AOSP 기반 커스텀 롬, 포팅, 벤더 개발 등은 릴리스 이후에만 본격 시작 가능

Google 입장

  • 병합 충돌 제거, 코드 품질 및 보안 개선
  • 내부에서 더 빠르고 일관된 개발 가능

4. 요약

Android는 여전히 오픈소스다.

그러나 더 이상 “오픈한 방식”으로 개발되지는 않는다

 

이 변화는 Android 생태계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오픈소스를 중심으로 한 개발 흐름과 기여 문화를 생각해볼 때,

“공개는 유지하지만 투명성은 줄인다”는 방향성이 뚜렷해졌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