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Kotlin]Level3 - 순위

2023. 3. 31. 19:57프로그래머스/Kotlin | Level3

728x90
반응형

Level3 - 순위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문제 설명

n명의 권투선수가 권투 대회에 참여했고 각각 1번부터 n번까지 번호를 받았습니다. 권투 경기는 1대1 방식으로 진행이 되고, 만약 A 선수가 B 선수보다 실력이 좋다면 A 선수는 B 선수를 항상 이깁니다. 심판은 주어진 경기 결과를 가지고 선수들의 순위를 매기려 합니다. 하지만 몇몇 경기 결과를 분실하여 정확하게 순위를 매길 수 없습니다.

선수의 수 n, 경기 결과를 담은 2차원 배열 result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정확하게 순위를 매길 수 있는 선수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명 이하입니다.
  • 경기 결과는 1개 이상 4,500개 이하입니다.
  • results 배열 각 행 [A, B]는 A 선수가 B 선수를 이겼다는 의미입니다.
  • 모든 경기 결과에는 모순이 없습니다.

입출력 예

n results return

5 [[4, 3], [4, 2], [3, 2], [1, 2], [2, 5]] 2

입출력 예 설명

2번 선수는 [1, 3, 4] 선수에게 패배했고 5번 선수에게 승리했기 때문에 4위입니다.5번 선수는 4위인 2번 선수에게 패배했기 때문에 5위입니다.


나의 풀이

풀이 접근 과정

확실하게 순위를 알 수 있는 번호는 다른 번호와 모두 경기를 한 번호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번호한테 진다면 진 번호도 순위를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생각은 예제 테스트케이스에 국한된 케이스였다.

예외 상황이 너무 많아서인지 20점이라는 정답을 얻었다.

2중배열 NxN 테이블을 그려봤다. 그랬더니 보인 사실이 있다.

만약 a가 b한테 이겼다. 그럼 b는 a가 진 모든 애들한테 질 것이다.

그래서 내가 경기에서 진 상대방이 졌던 상대방을 모두 구하는 ㅋㅋㅋ

그랬더니 답은 통과했다… 이게 맞을까?

최종 소스코드

  1. 경기 결과를 담을 2차원 배열을 선언한다.
    1. 구조 ⇒ league[a][b] = 1 :: a가 b한테 승리함
    2. value ⇒ 0:경기안함, 1:승, 2:패
  2. 인자로 받은 results를 돌며 경기 결과를 league에 넣는다.
  3. 경기 결과를 추가로 입력 받을 반복문을 만든다.
    1. 현재 index의 이긴 경기와 진 경기를 담은 각각의 배열을 만든다.
    2. 내가 이긴 경기의 번호들은 내가 진 경기의 번호한테 항상 진다.
      1. a:win, b:lose
    3. 만약 a와 b 경기 결과가 league에 없으면
      1. a와 b 경기 결과를 league에 넣는다.
      2. 다음 loop가 돌도록 설정한다.
    4. 만약 a와 b 경기 결과가 league에 없으면
      1. 다음 loop가 돌지 않아도 되도록 설정한다.
  4. 총 판단되는 경기 결과가 n-1*(모든 경기를 진행한 경우)*인 값의 수를 리턴한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n: Int, results: Array<IntArray>): Int {
        val league = Array(n+1) { IntArray(n+1) { 0 } }

        results.forEach {
            league[it[0]][it[1]] = 1
            league[it[1]][it[0]] = 2
        }

        while (true){
            var isBreak = true

            for (i in 1 .. n) {
                val winArray = arrayListOf<Int>()
                val loseArray = arrayListOf<Int>()

                league[i].forEachIndexed { index, it ->
                    if (it == 1) winArray.add(index)
                    if (it == 2) loseArray.add(index)
                }

                winArray.forEach { w ->
                    loseArray.forEach { l ->
                        if (league[w][l] == 0) {
                            league[l][w] = 1
                            league[w][l] = 2
                            isBreak = false
                        }
                    }
                }

            }

            if (isBreak) break
        }
        
        var answer = 0
        
        league.forEach {
            if (it.filter { i -> i != 0 }.size == n-1) answer++
        }

        return answer
    }
}

Comment

질문하기를 슬쩍 봤더니 플로이드 와샬을 쓰는 것 같았다.

예전에 기억은 안나지만 특정 문제에서도 플로이드-와샬이 나와서 공부해야지~ 했다가 안했는데…

그래서 그냥 그 방법은 버리고 나 나름대로 풀었다.

솔직히… 이게 맞나? 싶긴 하다.

728x90
반응형